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비 '초대받지 않은 손님' 올드영화 유명한 장면 Top3, 이야기 전개, 등장인물

by 베모월드 2024. 4. 2.


들어가는 말 🤗



오늘은 무비 ‘만찬에 누가 올지 맞춰보세요‘ 라는 올드영화를 다뤄볼까 합니다. 제목이 생소하죠?

한국에서는 ‘초대받지 않은 손님’이라는 제목으로 알려진 영화입니다.

영어 제목이 ‘Guess who's coming to dinner'이라서 그대로 번역된 제목을 한 번 써봤습니다.

아무튼 오늘 알아볼 영화 ’초대받지 않은 손님‘은 1967년에 개봉했던 굉장히 오래된 영화입니다.

유명한 장면 Top 3, 이야기 전개 그리고 등장인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영화 초대받지 않은 손님의 유명한 장면 Top3


1. 상징적인 저녁 식사 장면


영화 초대받지 않은 손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 중 하나는 주인공들이 긴장되고 감정적인 상태에서 식사를 위해 앉아있는 저녁 장면입니다.

시드니 포이티어와 캐서린 휴튼이 연기한 이 혼혈 커플이 스펜서 트레이시와 캐서린 헵번이 연기한 이 여성의 부모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장면은 눈에 띄는 긴장감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이 대화는 당시의 사회적 태도와 편견을 반영하며 날카롭고 가슴이 아픕니다.

이 장면은 영화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혼혈 관계의 복잡성과 도전적인 사회적 규범을 강조합니다.



2. 닥터 프렌티스의 연설


영화에서 또 다른 유명한 장면은 시드니 포이티어가 연기한 존 프렌티스 박사가 약혼자의 부모에게 강력한 연설을 할 때입니다.

그들의 딸에 대한 사랑과 그들이 직면한 사회적 장벽에도 불구하고, 그녀와 결혼하려는 그의 결심을 분명히 보여줍니다.

포이티어의 전달은 열정적이고 유창하며 그의 캐릭터의 지성, 진실성, 그리고 신념을 보여줍니다.

그 연설은 사랑, 수용, 그리고 편견과의 싸움이라는 주제를 요약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영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3. 클로징 독백


스펜서 트레이시의 캐릭터 맷 드레이튼(Matt Drayton)이 전달한 영화의 클로징 독백은 크레딧 롤이 끝난 후 오랫동안 울려 퍼지는 가슴 아픈 명장면입니다.

처음에 딸의 인종 간 관계를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 드레이튼은 변화하는 세상에서 사랑과 이해의 중요성에 대해 진심 어린 연설을 합니다.

그의 대사는 관객에게 관용과 수용의 중요성을 전달하죠.

트레이시의 연기는 영화에 진정성과 깊이를 불어넣었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 중 하나로 굳히는데 일조햤습니다.



이야기 전개


Guess who's coming to dinner(초대받지 않은 손님)는 스탠리 크레이머가 감독한 획기적인 1967년 영화입니다.

이 이야기는 젊은 백인 여성 조안나 드레이튼을 중심으로 전개되는데요.

조안나 드레이튼은 그녀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약혼자인 존 프렌티스 박사를 집으로 데려와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그녀의 부모님을 만나는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즉 그녀는 백인이었으나, 남자친구는 흑인이었던 것이죠.

아시다시피 당시 시대적으로 흑인인종차별이 만연해있었기 때문에 둘듸 만남은 상당히 이례적인 일이었습니다.

이렇듯 영화는 민권 시대 동안 인종 간의 관계와 인종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복잡성을 탐구합니다.

긴장이 고조되고 편견으로 대랍하는 드레이튼 가족은 인종적 경계를 넘어서는 사랑의 현실에 맞서게 됩니다.

주인공들은 그들 자신의 편견과 신념에 맞서 싸웁니다.

시드니 포이티어, 캐더린 헵번, 스펜서 트레이시 및 캐더린 휴튼의 뛰어난 연기로 ‘초대받지 않은 손님’은 시청자들에게 그들 자신의 편견과 선입견을 되돌아보게 하는 시대를 초월한 고전으로 남아 있습니다.



이 영화의 등장인물들의 특징


Guess who's coming to dinner의 등장인물은 다양한 배경과 감정을 지닌 풍부한 캐릭터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이 영화는 인종간의 관계와 사회적 편견을 다루기 때문에, 각 인물들의 캐릭터는 이야기를 더욱 풍성하게 만듭니다.

우선, 조안나(Dr. Joanna Drayton)는 미개한 사고 방식을 깨는 모더니스트의 상징입니다.

그녀는 사회적 관습과 편견을 무시하고 사랑의 힘을 신뢰합니다.

그녀의 용기와 결단력은 영화의 주요 주제를 대변합니다.

조안나의 부모인 맷(Matt)와 크리스틴(Kristin)은 전통적인 가치관과 사회적 기준에 묶여 있습니다.

그들은 딸의 결혼에 대한 과감한 선택에 직면하면서 자신들의 편견과 불안을 직시하게 됩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가치관을 새롭게 검토하고, 사랑이라는 것이 인종을 초월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조안나의 약혼자인 존(John)은 영리하고 카리스마 넘치는 의사로서, 인종차별에 맞서는 싸움을 이끌고 있습니다.

그의 캐릭터는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을 표현하면서, 사랑과 희망의 상징으로 우리에게 다가옵니다.

이들 캐릭터들은 모두 다른 시각과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복잡한 관계와 성장은 관객들에게 새로운 시각과 깊은 감동을 안겨줍니다.